탈상이란 상주를 벗어나 평상인으로 돌아가는 의식입니다. 요즘에는 장례행사 3일차에 탈상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특히 화장하는 경우에는 화장을 마친 후 유골함을 모시고 탈상제를 지낸 후에 바로 탈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경우를 당일 탈상이라고 합니다.
삼우제는 기본적으로 장례 후 지내는 제사입니다. 장례 후 첫 번째 날 지내는 제사를 초우 (장례 마지막 날), 장례 후 두 번째 날 지내는 제사를 재우, 장례 후 세 번째 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라고 합니다. 여기서 우제란 유교에서 시신을 매장 한 뒤 죽은 자의 혼이 방황할 것을 염려하여 편안히 모신다는 의미에서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요즘은 대개 3일장이 보편적이므로 돌아가신 날로부터 5일째 날이 삼우제 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초우와 재우는 생략하고 삼우만 지내는 것이 보편화 되었습니다. 삼우제를 마친 후에 탈상하는 것을 삼우 탈상이라고 하는데요. 장례를 마치고 이틀 후 장지를 다시 찾아서 삼우제를 올리고 바로 탈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혹 삼우제를 삼오제로 알고 계시는 분도 있으신데요. '삼우제'가 맞는 표현입니다)
49재란 고인이 돌아가신 뒤 7일 간격으로 7회에 걸쳐 49일 동안 개최하는 불교 의식 입니다. 불교에서는 망자가 죽은 날로부터 49재를 치르는 이 기간에 생전의 업에 따라 다음 태어날 세계가 결정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 기간동안 고인의 명복을 빌고 좋은 곳에 태어나기를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49재를 종종 49제로 혼동하시는 경우도 있는데요, 49재(四十九齋)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49재 탈상이란 49재를 올린 후에 탈상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49재는 불교식은 물론, 일반 유교 장례에서도 지내고 있으므로 잘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49재 상차림은 일반 제사상과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제사상 차림 보다는 약소하게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49재는 불교 의식으로 육류나 어류를 사용하지 않으며 고춧가루나 마늘, 소금, 팥 등과 같이 귀신을 쫓는다고 하는 음식들은 사용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기제사와 같이 고인의 소지품, 옷 등을 함께 태우는 경우도 있습니다.